[인권교육, 살짝쿵]“그림책은 쉬울 거야…. 정말?”
그러나 인권교육에서는 나의 이야기, 나의 서사로 만들어져야 눈길이 가게 됩니다.
서울에서 거리두기가 2.5단계로 격상되면서 대면 교육들이 다시 연기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되었다. 지난 가을부터 대면교육으로 진행되던 아동인권강사 기본과정도 코로나19 3차 대유행 고비를 넘기지 못하고 결국 ‘줌’(Zoom)을 활용한 비대면…
인권교육에서 참여자들의 생각을 점검하는 질문을 던지게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참여자들 사이의 견해 차이를 드러내고, 그 차이가 어디서 비롯되었는지를 찾아보는 OX 토론이나 스펙트럼 토론이 그러합니다.…
대부분의 청소년노동인권강사양성 교육과정에는 보통 앞부분에 청소년인권에 대한 것이 들어갑니다. ‘보호’라는 이름의 차별 속에 갇힌 청소년의 삶을 돌아보고, 어떻게 청소년과 동등한 시민이 될 것인가를 고민하게 하는 내용으로…
2019년 국가인권위원회의 위탁을 받아 인권교육 평가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그 연구결과물을 바탕으로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인권교육의 알파와 오메가: 기획.운영.평가를 위한 지표> 핸드북이 발간되었습니다. 핸드북에는 인권교육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