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교육, 살짝쿵] 교권이 교사를 자유케 하리라?교권과 교원지위법의 의미를 다시 묻다 2019-12-02 들 교육 이모저모, 어린이/청소년인권 교육 얼마 전 인천의 초등교사들과 ‘교권’을 다시 읽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인권교육, 살짝쿵] 청소년 자립지원 현장에서 떠올려본 기본소득- 자몽自夢 10월 네트워크에서 나눈 이야기 ② 2019-11-08 들 교육 이모저모, 어린이/청소년인권 교육 ‘주셔서 감사합니다’가 아니라 ‘내 권리 내놔라’ 말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까.
[인권교육, 살짝쿵] 기본소득을 권리로 말한다는 것- 자몽自夢 10월 네트워크에서 나눈 이야기 ① 2019-11-07 들 교육 이모저모 이 권리는 특정 행동이나 기여 여부에 따라 부여/철회되는 것이 아닙니다.
[인권교육, 살짝쿵] 나를 활용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작은 안내 2019-10-10 들 교육 이모저모, 인권감수성 교육 청소년에게 잘 이용당하고 싶다는 청소년지원 현장 활동가의 말이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에게 작지만 묵직한 울림이 됐거든요.
[인권교육, 살짝쿵] “우리 잘 싸웠지? 나 행복해”- 영화 「내일을 위한 시간」으로 청소년들과 함께 한 교육 이야기 2019-09-24 들 교육 이모저모, 인권감수성 교육 존엄하게 일하는 것을 위협받을 때, 최선을 다해 싸웠지만 원했던 결과를 얻지 못했을 때 우리는 존엄을 잃게 되는 것일까요?
[인권교육, 살짝쿵] 팝콘 한 줌과 해고, 노동자 안전과 건강 문제 2019-09-04 들 교육 이모저모, 인권감수성 교육 노동 안전과 건강권을 주제로 교육할 때면 가장 많이 나오는 말 중 하나가 ‘어떻게 (사람한테) 그러지?’다.
[인권교육, 살짝쿵] “당신이 현장을 알아?”인권교육가들이 서게 되는 시험대에 대하여 2019-08-22 교육둘러보기 대표글, 들 교육 이모저모, 인권교육가/역량강화, 인권교육가/역량강화대표 해법을 찾으려면 먼저 참여자가 보내는 신호의 숨은 뜻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겁니다.
[인권교육, 살짝쿵] ‘이주민 할당제’를 상상하다-다문화사회, 선언을 넘어 실천으로 2019-08-06 들 교육 이모저모, 인권감수성 교육 인간이 존엄하다는 선언만으로 우리가 존엄해지는 것이 아니듯이 다문화사회라는 말만으로 소수의 문화나 다양성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인권교육, 살짝쿵] ‘애매하고 난감한’ 질문을? 2019-06-10 들 교육 이모저모, 인권교육가/역량강화 인권교육안을 구성할때는 안 보였던 것이 직접 대답을 해보면 이렇게 주춤하게 되는 곳이 있습니다.